디지털온누리상품권 할인에 대해 많이 궁금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제 주변 지인분들도 인터넷 기사나 카톡을 통해서 디지털온누리상품권 이야기를 듣고 많이 물어보십니다.
그래서 ‘도대체 디지털온누리상품권 할인 혜택이 어떻길래 난리가 났을까?’라는 생각이 들어 인터넷과 유튜브를 통해 디지털온누리상품권에 대해 찾아봤고, 디지털온누리상품권이 기본 할인뿐만 아니라 환급과 소득공제까지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디지털온누리상품권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기본 할인을 포함한 받을 수 있는 모든 혜택을 자세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디지털온누리상품권이란?
디지털온누리상품권이란 온누리상품권 스마트폰 앱에서 충전해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입니다(최대 200만원까지 충전 가능).
보통 상품권이라 하면 이렇게 생긴 지류 상품권을 먼저 떠올릴 수 있는데요. 디지털온누리상품권은 간편하게 앱으로 충전하고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바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직접 은행에 가서 지류 상품권을 구매할 필요 없이 앱에 계좌와 카드만 등록하고 바로 결제하고 할인받을 수 있는 상품인 거죠!
디지털온누리상품권 할인
디지털온누리상품권은 기본적으로 10%의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10,000원을 충전하기 위해선 9,000원만 결제하면 되죠.
그리고 명절이나 특별 할인 기간 15%의 기본 할인율이 적용되기도 합니다. 즉, 10만원 충전 시 8만 5천원만 결제하면 됩니다.
25년도에는 1월 10일부터 2월 10일까지 명절 기간 추가 할인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디지털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
디지털온누리상품권 할인은 기본 10% 할인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10% 할인에 더해 25년 5월부터 9월까지 10% 환급 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0% 기본 할인 + 10% 환급으로 최대 20%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거죠(매주 최대한도 2만원까지 환급).
명절 기간에는 10%의 환급이 15%까지 확대되어 최대 30%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다만, 사정에 따라 추가 할인 또는 환급 행사가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온누리상품권 소득공제
또한 전통시장 등에서 디지털온누리상품권 결제 시 최대 40%의 소득공제도 가능합니다. 디지털온누리상품권 소득공제 적용 대상 및 공제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제율: 최대 40%
- 소득공제 가능 매장: 전통시장 가맹점 중 국세청에 등록된 매장
- 비전통매장인 일반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은 해당 안됨
- 적용한도: 연간 최대 300만원(신용카드 등 전체 공제 한도 내)
- 적용방법: 별도 현금영수증 발급 없이 자동으로 소득공제
만약 전통시장에서 디지털온누리상품권으로 연 200만원을 결제했다면, 200만원 x 40% = 80만원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여기에 한계세율 24%를 적용하면 약 19만 2천원의 절세 효과가 있는 거죠.
디지털온누리상품권 기타 혜택
그리고 디지털온누리상품권은 기본 할인, 환급, 소득공제 외에도 사용하고 있는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혜택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스마트폰 앱에 카드를 등록하고 결제하는 경우(신용카드형 디지털온누리상품권)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의 기본 할인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카드 포인트 적립, 카드 할인과 같은 카드 기본 혜택이 디지털온누리상품권 결제 시 바로 적용됩니다.
마치며
25년 5월부터 9월까지 10% 추가 환급행사를 통해 최대 20%의 디지털온누리상품권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주변에 전통시장이나 자주 찾는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에게 이번이 할인받기 정말 좋은 기회라 생각합니다.
이번 글이 복잡한 디지털온누리상품권 할인 혜택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