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이면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으로 5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것 아시나요?
그래서 오늘은 부담경감 크레딧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신청하고 어디서 사용할 수 있는지까지 자세히 정리해 드릴게요!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이란?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이란 소상공인분들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일괄적으로 50만 원의 포인트(크레딧)을 제공하는 지원 정책입니다.
연 매출액을 기준으로 크레딧이 지원되며 장사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공과금이나 국민연금 납부 등에 사용할 수 있다고 해요.
지원 금액
부담경감 크레딧은 소상공인 1인당 50만 원이 지원됩니다.
지원금은 신청 당시 등록한 카드로 들어오며, 추후 등록 카드 변경은 어려우니 처음 등록 시 카드 선택을 신중히 해야 합니다.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 자격
부담경감 크레딧을 신청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조건에 해당해야 합니다.
- 2024년 또는 2025년 연 매출액 0원 초과 3억 원 이하
- 휴업이나 폐업이 아닌 현재 사업 중인 소상공인
- 2025년 5월 1일 이전 개업한 사업자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방법
소상공인 크레딧은 ‘부담경감크레딧.kr’이나 소상공인24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부담경감 크레딧 사이트에서 바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따로 내야 하는 서류는 없고, 올해 또는 작년에 신고한 매출액을 기준으로 지원금이 제공됩니다.
신청이 완료되는 카톡이나 문자로 알림을 받을 수 있을 거예요.
신청 기간
신청 기간은 2025년 7월 14일(월)부터 11월 28일(금) 18시까지 입니다.
받은 지원금(부담경감 크레딧)은 반드시 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해야 하며 이후 남은 지원금은 사라집니다.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 및 사용방법
사용방법
부담경감 크레딧을 신청할 때 지원금이 들어올 카드를 지정했을 겁니다.
해당 신용 및 체크카드를 통해 크레딧 사용처에서 결제하시면 남아 있는 지원금이 먼저 차감되는 방식으로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처
부담경감 크레딧은 공과금이나 보험료를 내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기(한전), 가스(지역별 도시가스), 수도 요금(상수도사업본부)과 같은 공과금 또는, 4대 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를 내는데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어요.
사업주 4대 보험료에도 지원금 사용이 가능합니다.
마치며
오늘은 소상공인을 위한 부담경감 크레딧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신청 조건에 해당하는 소상공인분들이라면 꼭 지원금 받으셔서 조금이나마 경제 부담을 덜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